본문 바로가기
주린이를 위한 기초

주식투자의 시작-사업보고서 읽기

by #§☆▒※‡@△◎№*&† 2020. 8. 15.
반응형

thumbnail

주식투자의 시작-사업보고서 읽기

유튜브 '챔CHAM, 돈 공부방'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린이들을 위한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는 채널입니다.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다트에서 상장/비상장 회사 관련서류를 모두 볼 수 있습니다. 1년에 4번 분기마다 분기보고서, 반년 끝나고 6월에 반기보고서, 1년 결산하고서는 사업보고서란 이름으로 발표합니다.

처음 종목 공부를 할때는 이름과 상관없이 가장 최신 걸 보면 됩니다.

다트에서 관심종목 이름을 입력하고 정기공시, 전체선택 체크 후 검색을 누르면 가장 위에 있는 최신자료가 나옵니다.

다트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는 100~200페이지 분량의 서류로 사업 아이템부터 매출, 비용까지 그 내용이 방대합니다. 

사업보고서 파트2 보는 방법

파트2는 '사업의 내용'입니다. 기업이 어떤 사업부문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 아이템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자료입니다.

3가지 항목만 빨리 체크

1. 사업부문 & 비중확인

작은 종목들은 1개 사업부만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지만 삼성전자처럼 여러개의 사업부를 가진 기업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반기보고서

여러개 사업부 중에서 매출, 이익비중이 가장 높은데가 어딘지 확인하고 그쪽을 중심으로 읽습니다.

삼성전자는 사업부중 반도체와 핸드폰 사업 비중이 높네요. 

2.시장구조(점유율) 확인

산업내에서 이 회사가 어느정도의 입지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독점, 과점(소수의 플레이어들만 있는), 자유경쟁 구조인지 봅니다. 주로 <시장여건>이라는 항목에 나오며 아니면 점유율 숫자를 확인해도 됩니다.

삼성전자 사업보고서

점유율이 높은 종목들은 수익성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독과점 구조에서 영업하는 회사는 정말 좋겠죠.

3. 업황민감도

예를들어 내수를 위주로하는 SK텔레콤 같은 통신회사들은 수출을 위주로 하는 삼성전자같은 회사보다 외부환경이나 경기 변화에 따른 민감도가 낮은 편입니다.

민감도가 낮다= 경기침체가 와도 통신비는 내고, 음식은 사먹죠=이런업체들은 여전히 돈을 벌고 주가도 덜 흔들립니다민감도를 제일 쉽게 파악하는 방법은 어떤 업종에 속하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댓글